변수와 자료형
변수
변수(variable)는 데이터를 담아두는 상자로 생각할 수 있다.
변수는 사용하기 전 반드시 미리 선언하여야 한다.
선언을 하게 되면 컴파일러는 변수의 자료형에 맞는 기억 공간을 미리 확보한다.
int x; // 자료형 + 변수이름
자료형
자료형(data type)은 변수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타입을 의미한다.
변수를 상자라고 가정했을 경우, 자료형은 상자의 종류와 크기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자바에는 크게 나누어서 기초형(primitive type)과 참조형(reference type)의 자료형이 있다.
기초형
실제 값이 저장
-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 실수형 : float, double
- 논리형 : boolean
- 문자형 : char
참조형
실제 객체를 가리키는 주소 저장
- 클래스, 인터페이스, 배열
상수
상수(constant)란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동안, 값이 변하지 않는 수 또는 변경 불가능한 수를 의미한다.
자바에서는 final 키워드를 이용하여 변수 정의를 상수 정의로 변경할 수 있다.
final 키워드는 변수에 값이 대입되고 나면 변수의 값이 더 이상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final로 선언된 상수를 프로그램 안에서 변경하려고 시도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final double PI = 3.141592; // 상수선언키워드 + 자료형 + 상수이름 + 상수값
형변환
때로는 하나의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을 형변환(type conversion)이라고 한다.
변환하려는 값의 앞에 원하는 자료형을 적어주면 된다.
int x = 3;
double y = (double) x; // y에 3.0 저장
// 축소 변환
i = (int) 12.5; // i에는 12만 저장
연산자
산술 연산
연산자 | 기호 | 의미 | 예 |
덧셈 | + | x와 y를 더한다 | x + y |
뺄셈 | - | x에서 y를 뺀다 | x - y |
곱셈 | * | x와 y를 곱한다 | x * y |
나눗셈 | / | x를 y로 나눈다 | x / y |
나머지 | % | x를 y로 나눌 때의 나머지값 | x % y |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 | 차이점 |
+ + x | 수식의 값은 증가된 x값이다 |
x + + | 수식의 값은 증가되지 않은 원래의 값이다 |
- - x | 수식의 값은 감소된 x값이다 |
x - - | 수식의 값은 감소되지 않은 원래의 x값이다 |
복합 대입 연산자
복합 대입 연산자 | 의미 |
x + = y | x = x + y |
x - = y | x = x - y |
x * = y | x = x * y |
x / = y | x = x / y |
x % = y | x = x % y |
관계 연산자
연산자 기호 | 의미 | 사용 예 |
= = | x와 y가 같은가? | x = = y |
! = | x와 y가 다른가? | x ! = y |
> | x가 y보다 큰가? | x > y |
< | x가 y보다 작은가? | x < y |
> = | x가 y보다 크거나 같은가? | x > = y |
< = | x가 y보다 작거나 같은가? | x < = y |
논리 연산자
연산자 기호 | 사용 예 | 의미 |
& & | x & & y | AND연산, x와 y가 모두 참이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 | | x | | y | OR연산, x나 y중에서 하나만 참이면 참, 모두 거짓이면 거짓 |
! | ! x | NOT연산, x가 참이면 거짓, x가 거짓이면 참 |
조건 연산자
max_value = (x > y) ? x : y;
// (x > y)가 참이면 x가 결과값, 거짓이면 y가 결과값
absolute_value = (x > 0) ? x : -x; // 절대값 계산
max_value = (x > y) ? x : y; // 최대값 계산
min_value = (x < y) ? x : y; // 최소값 계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