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과 GitHub, 명령어와 Hash

Dec 12, 2023
Git과 GitHub, 명령어와 Hash
 

Git과 GitHub ?

ctrl + z를 사용해 이전 단계로 돌아가거나 이전 데이터를 불러온다.
이렇게 원하는 시점인 ‘버전’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버전 관리이며 소스코드를 변경하였는데, 이전의 원하는 시점으로 돌아가게 해 주는 소스코드 버전 관리 시스템이 ‘Git’이다.
 
Git은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만 있다면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데, Git을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올려둘 수 있는 Git 호스팅 사이트 중에 하나가 ‘GitHub’이다.
 
 

git bash

git bash를 쓰면 여러 os에서 할 수 있다
 
 

Git 명령어

폴더 확인

ls : 폴더 확인 ls -a : 숨겨진 폴더까지 확인 ls -al : 상세 정보까지 확인
 

새로운 파일을 추가하거나 존재하는 파일 스테이징하고 커밋하기

git init : 폴더 생성 git add 파일명: 파일명 형상 저장 git add . : 모든 파일 형상 저장 git commit -m "커밋메시지" : git에 저장 git log : 저장소의 커밋 히스토리를 시간순으로 보여줌 rm -rf .git : 폴더 삭제
add는 메모리에 기억
commit은 하드디스크에 기억
 

사용자 등록

git config --global user.email "stwin755@gmail.com" git config --global user.name "kimseongjae"
 

형상 관리

git reset --hard ****(Hash 앞 네 개) : Hash 형상 불러오기 git reflog : 제거된 형상까지 확인
 
 

Hash

해시 Hash

전자서명과 진위여부 파악에 주로 쓴다
 

임의의 난수(16진수)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ex) 숫자 3 = 0 x 03
 

다시 ‘안녕’을 Hash해도 동일하게 나온다

ex) 안녕 → Hash → ABCD123
 

복구화가 안 된다(단방향)

 

무엇을 Hash해도 항상 동일한 길이가 나온다

ex) 책 한 권 → Hash → ABC1234
(변경된)책 → Hash → DEF5678
 
 
 
 
 
 
 
 
Share article

stwin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