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버전 관리

Dec 12, 2023
GitHub 버전 관리
 

깃허브란 ?

깃허브는 루비 온 레일스로 작성된 분산 버전 관리 툴인 깃 저장소 호스팅을 지원하는 웹 서비스이다.
 

1. 버전 관리를 위해서 내 정보 등록하기

해당 버전을 누가 만들었는지 Email과 Name을 등록해주도록 한다.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Email"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
 
git init, git add, git commit을 사진으로 비유한 사진
notion image
 

2. 커밋에 추가할 파일 선택하기

현재 사진을 찍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git add . git add 파일명
 

3. 커밋에 상세 설명 추가하기

사진을 저장하는 사진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큰 따옴표 안에 추가할 상세 설명을 넣어준다.
git commit -m "상세 설명"
 
이렇게 하면 첫 번째 버전을 만든 것이다.
 
이제 파일을 수정하고 두 번째 커밋을 해보자.
 

4. 업로드된 파일 수정 후 커밋하기

git add . 또는 git add 파일명
git commit -m "파일 내용 업데이트"
 

5. 커밋한 내용 확인해보기

git log
 
지금까지의 커밋은 내 컴퓨터를 로컬저장소로 하여서 나 혼자만 볼 수 있는 버전 관리를 하는 것이다.
 
이번에는 우리가 자주 듣는 ‘GitHub’라는 웹 사이트에 협업을 위한 원격저장소를 만들것이다.
원격저장소를 사용하게 되면 다른 개발자와 함께 버전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로컬 저장소에서 생성한 커밋들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하기

remote add origin 명령어는 로컬저장소에 원격저장소 주소를 알려준다.
git remote add origin
 

2. 로컬저장소에 있는 커밋들 push 명령어로 원격저장소에 업로드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GitHub 로그인 창이 뜨는데, 로그인 해주면 된다.
git push origin master
 

3. 로컬저장소에서 파일을 수정하고 원격저장소에 올리기

원격저장소에서 내려받은 파일을 수정한 후에 다시 원격저장소에 push를 해준다.
파일을 수정한 후 저장을 눌러준다.
git add . 또는 git add 파일명
git commit -m "로컬저장소 수정한 부분 추가"
git push origin master
Share article

stwin755